초등학생 학원비는 얼마나 들까? 영어와 수학, 그리고 소득 수준의 사교육비 비율은?

초등학생 학원비는 얼마나 들까? 영어와 수학, 그리고 소득 수준의 사교육비 비율은?

서울 기준 사교육 참여율 84.3%, 초등학생 사교육비 지출 규모 58만8000원

며칠 전 교육부가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전국 초중고 3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2년 사교육비 총액은 26조원이었습니다. 사교육 참여율은 78.3%이며, 일주일 사교육의 진정한 시간은 7.2시간입니다. 이 내용은 언론에서 많이 봤죠?영어학원 브랜드 공터영어입니다.이번 블로그 글은 최근 발표된 사교육비 조사에 관한 것으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입니다. 학원비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고 소득수준에 따라 어느 정도 학원비를 사용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기준 초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85.2%입니다. 초1은 85.7%, 초2는 88.0%, 초3은 87.6%, 초4는 86.3%, 초5와 초6은 82.0%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교육 참여율이 낮아집니다. 이는 예체능·취미 교양 관련 사교육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예체능이란 음악, 미술, 체육 등을 의미합니다.

초등학생의 경우 예체능 취미 교양에 투자하는 비용이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에 비해 크게 많거든요.2022년 기준 초등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7만2000원입니다.하지만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예체능과 취미교양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국·영·수·사·과를 포함한 일반교과 및 논술 월평균 사교육비는 23만4000원이며, 예체능/취미교양에 지불하는 월평균 사교육비는 13만8000원입니다. 일반 교과 및 논술에 투자하는 월평균 사교육비는 중학생부터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예체능취미교양 사교육비는 중학생부터 크게 줄어듭니다.그런데 말이죠.사교육비 하면 보통 학원 생각나잖아요.이번 조사에서는 그 범위가 좀 더 넓습니다.사교육비 범주학원, 개인과외, 그룹과외, 방문학습지, 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의 수강료 지출비용 방과후학교, EBS교재비, 어학연수비 등은 사교육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각 유형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현황을 보면요. 학원 수강률이 제일 높죠. 하지만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개인과외의 비중도 높기는 합니다. 그래도 학원 수강에 비하면 낮은 편에 속합니다.그래서 사교육이라고 하면 ‘학원 수강’과 바로 연결이 됩니다.초등학생의 과목별 사교육비 지출 내역을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전 학년을 기준으로 영어에 투자하는 사교육비가 12만3000원으로 가장 많습니다. 이어 수학이 11만6000원, 예체능/취미·교양 9만8000원, 국어 3만4000원 등입니다.초등학교 4학년까지는 예체능/취미·교양지출이 가장 많았으나 초등학교 5학년이 되면서 영어지출이 예체능/취미·교양지출을 앞서게 됩니다. 수학지출은 초등학교 6학년 때 크게 늘고 국어지출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조금씩 줄어듭니다.가구소득 수준별로 학생 1인당 투자하는 월평균 사교육비는 얼마가 될까요? 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월소득 300만원 미만의 경우 초등학생 사교육비는 17만3000원, 300~400만원은 25만원, 400~500만원은 32만원, 500~600만원은 36만3000원, 600~700만엔은 42만7000엔, 700~800만엔은 46만5000엔, 800만엔 이상은 59만2000엔 등입니다.시도별 사교육 참여 비율과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규모입니다.앞면에서전체학생,참여학생이라는용어가나와요. 전체 학생은 우리나라 학생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참여 학생의 이번 조사에 참여한 학생을 의미합니다. 위 데이터는 가능한 모든 학생을 기준으로 만든 것입니다.초등학생 기준 사교육 참여율 및 사교육비 지출 규모 모두에서 서울이 가장 높습니다. 서울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84.3%이며 지출 규모는 58만8000원입니다.이어 사교육 참여율은 경기 82.1%, 세종 80.5%, 대구 79.9%, 부산 78.7%, 울산 78.4%, 인천 77.9% 등입니다. 전남(67.6%)과 충남(68.9%)은 상대적으로 사교육 참여율이 낮습니다.사교육비 지출 규모는 서울에 이어 대구 46만3000원, 경기 45만3000원, 세종 44만5000원, 대전 42만7000원, 인천 41만2000원, 울산 41만1000원 등입니다.학원비에 대한 통계분석은 여기까지입니다.데이터가 안 맞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을 거예요. 지출 비용이 너무 낮은 것은 아닌지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수도 있어요. 이 자료는 전체 학생 평균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공터 영어는 더 좋은 콘텐츠로 돌아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